본문 바로가기

일상

외로울때 폭식을 하는 이유 감정 식욕

반응형

최근 미우새에서 김신영이 가짜배고픔과 진짜배고픔을

구별하라는 말을 했죠.

요사이 부쩍 먹는양이 많이 늘어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찾아봤어요.



내가 외로워서 폭식을 하는가?

실제로 감정 식욕이란 말이 있네요.


그럼 감정식욕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볼까요?


  식욕은 우리 몸의 에너지가 

부족하다는 정상적인 신호입니다.


 문제는 감정적 허기로

 음식을 먹는 ‘감정 식욕’입니다.


 마음이 허전해 끊임없이 먹게되죠. 


신체적으로는 배고프지 않아도 

외로워서 먹고 화나고 지쳐서 먹게 됩니다. 


심리적 결핍을 먹는 행위로 

보상받으려고 한다고 합니다.

 



감정적으로 먹다 보면 

폭식·비만·당뇨병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겠죠.

 끝없는 식욕의 원천은 몸이 아닌 마음에 있습니다.

 

감정 식욕은 

감정적 허기가 육체를 지배하는 상태입니다.





 불안·무력감·외로움·분노·우울 같은 

부정적 감정은 공복감·포만감을 조절하는

 뇌의 중추신경에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몸과 마음이 편안할 때는 

적당히 먹으면 뇌에서 배가 부르다고 인지해 

그만 먹도록 지시합니다.


 그러나 감정 식욕은 심리적으로 불안정하면 

식욕이 억제되지 않아 충분히 먹어도 

배가 고프다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뇌는 단순해서 위장을 꽉 채우면 

느껴지는 일시적 포만감을 

행복한 감정으로 인식한다고 합니다.


 충동적으로 먹으면서 

불안감을 줄이고 

화를 삭이는 사람이 많은 이유입니다. 


특히 기름지고 바삭바삭하고 

달달한 음식은 쾌락 호르몬인 도파민 분비를 촉진해

 부정적 감정으로 예민해진 뇌를 빠르게 달래줍니다. 





이 같은 경험이 반복되면

 감정적 공허함을 배가 고픈 것이라고 착각합니다.

 결국 감정 식욕으로 

배고픔과 상관없이 음식에 집착하게 된다고 합니다.